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게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

by 보현수 2024. 10. 6.
728x90
반응형
SMALL

♧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 ♧

 

급성골수성백혈병은 대표적인 혈액암으로, 골수와 혈액에서 백혈병 암세포가 계속 증가하면서 정상적인 조혈 기능은 억제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1.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란?
급성백혈병은 대표적인 혈액암으로, 백혈병 세포가 어떤 혈액 줄기세포에서 기원했는지에 따라 골수성과 림프모구성으로 구분합니다. 성인 환자는 대부분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받지만, 유년기에는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이 주종을 이룹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골수와 혈액에서 백혈병 암세포가 계속 증식하면서 정상적인 조혈 기능이 억제되는 특징을 보이며, 척추나 뇌 등 특정 장기에 백혈병 세포가 침투하기도 합니다. 조혈모세포 단계에서 백혈병 줄기세포 클론이 생기고 이후 급속도로 백혈병 세포가 늘어나 1012개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 혈액 이상과 증상이 발생합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하나의 질병이라기보다는 매우 다양하고 특징적인 유형들로 구성된 질환군입니다. 백혈병 세포의 염색체 이상과 분자유전 변이가 다양하고, 환자 개개인이 가진 인적 요인도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질성으로 인해 환자의 임상 경과와 치료 반응, 사망률, 완치율이 제각기 달라집니다.

2.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원인과 발병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과거에 다른 암으로 항암치료를 받았거나 직업적으로 유기용매에 오래 노출된 경우, 골수형성이상증후군과 같은 선행 골수질환 등을 위험인자로 꼽습니다. 부모와 자식 간에 유전되는 병은 아니지만, 생식계 혹은 종자계 세포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급성골수성백혈병을 포함한 여러 종양 질환이 생길 수 있는 경향성이나 소인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인이 유전된다고 해서 백혈병을 포함한 악성 종양이 반드시 발생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3.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증상
골수에서 백혈병 세포가 증식하면 정상 혈액세포의 생산이 크게 줄어들면서 호중구 감소에 의한 감염증, 혈소판 감소에 의한 출혈, 적혈구 감소에 의한 빈혈 등이 발생합니다. 뇌와 척추에 백혈병 세포가 침투하면 위중한 신경학적 증세가 나타날 수 있고, 다른 장기 역시 백혈병 세포가 침투해 관련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진단
일반적으로 세계보건기구의 진단 기준에 따라 혈액이나 골수에서 백혈병 세포가 20% 이상 관찰될 때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합니다. 혈액이나 골수에서 백혈병 세포가 관찰되지 않지만, 조직검사에서 다른 장기나 조직에 백혈병 세포의 침투가 확인되는 경우에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더욱 정확한 위험도 분석과 치료 계획 수립, 예후 예측을 위해 유세포 검사, 염색체검사, 다양한 분자유전검사, 차세대염기서열 검사 등을 추가합니다.

5.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
조혈기관인 골수는 몸 전체에 걸쳐 있는 하나의 장기라고 할 수 있으므로 급성골수성백혈병은 고형암과 달리 병기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환자의 나이와 기저질환, 백혈병 세포의 염색체와 분자유전 이상 등 여러 검사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예후군에 따라 치료 방침이 정해집니다.

 

위험군 평가에는 치료 성적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을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으로 분류한 유럽 백혈병 네트워크(ELN) 체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위험군은 특징적인 염색체 이상과 분자유전 이상 소견을 보입니다. 위험군 분류 체계는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치료 성적과 임상적 예후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관해 후 치료 시행 여부 및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는 크게 관해유도치료와 관해 후 치료로 진행됩니다. 일차적으로 항암치료를 시행해 관해 상태에 도달하게 한 뒤, 장기 생존과 완치를 목적으로 공고항암화학요법,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등의 치료를 시행합니다.

1) 관해유도치료 : 지난 50여 년간 고전적인 세포독성항암제가 관해유도를 위한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7+3’ 요법으로 불리는 복합 항암화학요법이 관해유도치료의 바탕을 이룹니다. 하지만 최근 표준 강도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 어려운 고령 환자에게 경구용 신약(Bcl-2 억제제)을 포함한 저강도 항암화학요법이 도입되었고, 저위험군의 치료 성적을 더 높이기 위한 항 CD33 억제제,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경구용 표적치료제(FLT3 억제제) 등이 추가되었습니다.

 

아울러 기존의 ‘7+3’ 요법으로 좋은 관해 유도율을 기대하지 못했던 치료 관련 백혈병이나 2차성 백혈병에서 기존의 두 가지 항암제를 하나의 항암제로 재구성한 신약이 도입되는 등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표준 강도의 관해유도치료 후 관해에 도달했으나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경구용 저메틸화제제를 유지요법으로 투여해 치료 성적이 향상된 사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2) 관해 후 치료 : 가장 많은 환자가 속한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에서는 관해에 도달하면 관해 후 치료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합니다. 저위험군 환자들은 항암치료에 반응이 좋고 다른 위험군에 비해 재발률이 낮으며 장기 생존율이 높아서, 관해 후 치료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정준원 교수)

728x90
반응형
LIST

'건강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니에르병 (Meniere disease)  (4) 2024.10.09
부정맥 (Arrhythmia)  (10) 2024.10.08
파라인플루엔자 (Parainfluenza)  (1) 2024.10.04
혈소판감소증 (Thrombocytopenia)  (1) 2024.10.03
가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0) 2024.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