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직장 내에서 '투자의 귀재'로 유명했던 A씨는 직장 동료들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투자금을 받고 높은 수익을 돌려줬다. 직장 동료들의 신뢰를 얻자 A씨는 어느 날 부동산 경매 입찰에 사용한다며 직장 동료들에게 신분증, 위임장, 인감증명서 등을 요구했다. A씨는 직장 동료들로부터 받은 신분증 등을 활용해 이들 명의의 휴대폰을 몰래 개통했고 허위로 추정되는 임대차계약서도 작성했다. 이어 은행 등에서 직장동료 명의로 전세대출(대면), 신용대출(대면·비대면)을 신청했고 대출이 실행되자 이를 편취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투자를 명목으로 직장동료들에게 신분증 등을 제공받아 대출금을 편취한 대출사기가 발생했다며 '소비자경보'를 16일 발동했다.
금감원은 "관련 사고사례를 은행권에 전파했고 명의도용 대출사기 재발방지를 위해 내부통제 개선방안 등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소비자도 갈수록 치밀하고 교묘해지는 명의도용 대출사기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소비자 행동 요령'에 유념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먼저 지인이 고수익으로 현혹하며 귀하의 신분증, 위임장 등을 요구하더라도 절대 응하지 말고 대출사기를 의심해야 한다.
미처 알지 못한 금융거래가 의심된다면 '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에서 '내계좌 한눈에'와 '금융정보조회'를 활용해 본인 명의로 개설된 계좌 또는 대출을 확인하면 된다. 만일 본인 모르게 개설된 계좌가 있을 경우 ‘내계좌지급정지’ 메뉴에서 일괄 지급정지가 가능하다.
타인에게 신분증 사본 등을 제공했거나 개인정보가 노출이 우려되는 경우 금융소비자포탈 '파인' 홈페이지 또는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홈페이지에서 개인정보 노출자로 등록하는게 좋다. 개인정보 노출자로 등록되면 신규 계좌개설, 신규 대출 등이 제한돼 추가적인 명의도용 피해 예방이 가능하다.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이나 인터넷 전화 등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명의도용 방지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본인 명의 휴대폰 가입현황 조회 결과 명의도용으로 인한 개통이 확인되면 해당 통신사 등에 연락해 회선 해지신청 및 명의도용 신고를 해야 한다.
아울러 본인이 거래중인 금융회사를 통해 ‘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에 가입하면 본인 모르게 본인 명의로 신용대출, 카드론 등 신규 여신거래가 실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금감원은 "다만 ‘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에 가입하더라도 사기범이 가입자의 신분증을 취득해 영업점을 방문한다면 본인 모르게 서비스 해지를 시도할 수 있다"며 "신분증 대여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혜진 기자 (sjmary@fnnews.com)
'증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전세자금도 빠듯한데”…지난해 강남4구는 40대·마용성은 30대가 가장 많이 샀다 (0) | 2025.02.16 |
---|---|
"전세 사기 당할라"…서울 오피스텔 월세 1년 내내 올랐다[월세 시대]② (0) | 2025.02.16 |
고삐 풀린 ‘잠·삼·대·청’…서울 아파트 값 양극화 심화 우려 [토허제 해제] (0) | 2025.02.13 |
韓조선은 트럼프가 기회?…한화오션, 中대신 1.8조 잭팟 터트리나 (0) | 2025.02.09 |
대왕고래 vs 사기고래…與 "시추 더 필요" 野 "국정조사 필요" (0) | 2025.02.09 |
댓글